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81

[HTML] XPath란? XPath HTML 문장 속의 요소, 속성 등을 지정하는 언어이다. XPath에는 XML문장을 트리로 다루기 때문에, 요소나 속성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HTML 내의 요소의 경로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절대경로 문서의 시작부터 모든 경로를 표시하는 방법 계층 문서 내에서 특정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모든 단일 노드를 지정해야한다. 항상 루트 노드에서 시작한다. /html/body/div/div/div//div[1]/div[2]/div/div/div[2]/section[1]/span[1] 경로를 하나하나 다 적기 힘들고, 경로가 매우 길어진다. 상대경로 속성 이름과 속성 값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선택한 노드에서 시작할 수 있다. //태그 이름[@속성='값'] //tagname[@a.. 2023. 1. 13.
[웹스크래핑] 웹크롤링 vs. 웹스크래핑 웹크롤링 vs. 웹스크래핑 웹크롤링데이터를 수집하는 소프트웨어를 크롤러(crawler)라고 한다. 크롤러는 블로그, 뉴스 기사 등의 페이지를 모두 방문해서 문서가 어디에 있는지, 누가 작성했는지, 어떠한 내용이 들어 있는지를 수집한다. 수집한 데이터를 검색 포털이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어 놓기 때문에 사람들이 검색하면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빠르게 찾아줄 수 있다. 어떤 웹페이지에서 페이지의 링크를 따라가면서 모든 내용을 가져오는 것. 허용된 링크를 따라가면서 데이터를 마구잡이로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ex) 이벤트에 당첨되어 서점에서 카트에 30초 동안 담을 수 있는 모든 책을 담을 수 있는 기회가 생김. 다만 가장 윗줄에 있는 책들은 담으면 안된다. 이때 책의 내용과 관계없이 눈에 보이는 모든.. 2023. 1. 13.
[HTML] 뷰포트(Viewport) 뷰포트(Viewport) 현재 화면에 보여지고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기기 별로 뷰포트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웹 페이지라도 기기에 따라 배율 조정이 발생해서 화면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컴퓨터 화면의 웹 페이지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페이지 크기를 조절하며 웹을 조회할 수 있지만, 모바일은 고정된 사이즈로 조회해야한다. 따라서 웹의 모든 콘텐츠를 디바이스에서 알맞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배율 조정이 필요하다. PC용 웹페이지와 모바일 웹페이지를 따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ex) 네이버, 구글 등 뷰포트 추가 전 뷰포트 추가 후 개발자 도구(F12)에서 Toggle Device Toolbar(또는 반응현 디자인 모드)를 누르면 확인할 수 있다. 2023. 1. 12.
[HTML] 메타(Meta) 태그 메타(Meta) 태그 HTML 문서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메타데이터 :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즉 '정보'를 의미 항상 head 태그 안에 들어가며, 문자 세트, 페이지 설명, 키워드, 문서 작성자, 뷰포트 등을 지정하는데 사용.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검색엔진이 페이지를 검색할 때 참고할 수 있고, 검색 결과에 반영할 수 있음. 유형 및 속성 charset : 문자 세트 문자 인코딩에 대한 요약 정보 속성. 영문과 한글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 utf-8 방식을 사용한다. 문자 인코딩을 하지 않으면 웹페이지가 자동으로 추정하여 지정하기 때문에 글자가 깨질 수 있다. http-equiv : 콘텐츠 속성 정보/값에 대한 HTTP 헤더 제공 HTTP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 2023. 1. 12.
[HTML] 폼 태그 폼 태그 폼 :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입력값)를 서버로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 : 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Host).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요청을 하면 서버는 그에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 서버 : 네이버 로그인(아이디와 비밀번호 전송) 클라이언트 ← 서버 :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맞으면 로그인시켜줌. 틀리면 틀렸다는 정보를 되돌려준다. 폼(Form) 폼은 입력 요소드를 감싸고 있으며, 입력 값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폼 태그에 묶여있는 입력 요소들은 하나의 양식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폼의 입력 값을 제출하기 위해 input 태그의 submit 타입을 사용한다. 속성 action : 입력값을 전송할 서버의 url method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 2023. 1. 11.
[HTML] 전역 속성 전역 속성 전역 속성은 모든 HTML 태그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을 의미한다. 콘텐츠 대표적인 전역 속성 4개 id : 요소에 고유한 이름은 부여하는 식별자 역할 속성. class : 요소를 그룹 별로 묶을 수 있는 식별자 역할 속성. style : 요소에 적용할 CSS 스타일을 선언하는 속성. title : 요소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텍스트 속성. 사용자에게 툴팁 제공. 제목입니다. 크기가 가장 커요. 나도 제목입니다. h1에 비해 약간 작아요. 이미지 파일 테스트입니다. HTML 기초 마스터하기 공부만이 살길이다 이미지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툴팁(진주귀걸이를한 소녀)가 표시된다. 2023. 1. 11.
[HTML] 태그 기초 태그의 구분 1. 블록 요소 태그 : 자기가 속한 요소를 모두 차지 ex) ... 2. 인라인 요소 태그 : 필요한 공간만 차지 ex) ... 문단(paragraph) ... 예시 첫 번째 문단입니다. 두 번째 문단입니다. 제목 ... 제목1 제목2 제목3 제목4 제목5 제목6 수평선 제목1 제목2 제목3 제목4 제목5 제목6 줄바꿈 제목1 제목2 제목3 제목4 제목5 제목6 공백 공 백 공 백 이미지 태그 단일 태그이다. width와 height 중 하나만 사용하면 사용하지 않은 값은 자동으로 비율이 조정된다. 이미지 url 주소가 올바르지 않을 때 alt의 텍스트가 출력된다. 2023. 1. 10.
[HTML] HTML 기초 문법 HTML의 문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태그(Tag)이다. HTML의 이해는 태그의 종류, 의미, 속성을 이해하는 것이고, 태그는 HTML 코드에서 정보(콘텐츠)를 정의하는 형식이다. 태그는 속성(Attribute)을 가질 수 있다. 속성은 지정된 태그 명령에 대하여 보다 자세한 환경과 정보를 규정하여, 웹 브라우저로 하여금 보다 세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정하는 명령의 일부이다. 속성은 시작 태그 내부에서 정의하며,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태그 사용 방법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 기호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시자과 끝을 표시한다. 기입할 콘텐츠 태그는 복합 태그와 단일 태그로 구분된다. 복합 태그와 단일 태그 복합 태그 : 쌍으로 사용 되는 태그. 시작과 끝을 구분한다. 형식) ... 단일 태그 : 단.. 2023. 1. 9.
[HTML] HTML 기초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이란 웹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하며, 플랫폼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Hyper Text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마크업(markup) 언어이다. HTML은 태그라는 문법을 사용하는데, 그 종류가 약 150가지이다. - Hyper Text : 하이퍼링크를 통해 다른 문서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 - Markup 언어 : 일반 텍스트 문서에 로 둘러싸인 약속된 태그(tag)를 붙여줌으로써, 특수한 기능을 웹 브라우저로 하여금 인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지시 해주는 기능을 하는 언어 HTML 코드로 웹페이지에 개발자가 표시하고싶은 내용이 적힌 HTML 문서를 만든다. 완성된 HTML 코드를 웹브라우저가 로딩하면 웹페이지가 만들어.. 2023. 1. 9.
Error Diffusion이란? Dithering Dithering이란 Bit Depth가 높은 영상데이터를 Bit Depth가 낮은 영상데이터로 바꿀 때 적용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12 Bit 영상데이터는 RGB 각각 0 ~ 4095까지 총 4096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지고, 10 Bit 영상데이터는 0 ~ 1023까지 총 1024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진다. 4096단계를 1024단계로 전환할 때, 단계가 1024/4096 = 1/4로 줄어드면서 실제보다 데이터가 3/4 손실하게 된다. 이 손실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보완하고 보정할 지에 대한 방법론 중 하나가 Dithering이다. Dithering은 Temporal Dithering(시간적 디더링)과 Spatial Dithering(공간적 디더링)으로 나.. 2023. 1. 8.
FRC(Frame Rate Control)란? FRC(Frame Rate Control) FRC란 일종의 Dithering이다. Dithering이란 Bit Depth가 높은 영상데이터를 Bit Depth가 낮은 영상데이터로 바꿀 때 적용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12 Bit 영상데이터는 RGB 각각 0 ~ 4095까지 총 4096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지고, 10 Bit 영상데이터는 0 ~ 1023까지 총 1024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진다. 4096단계를 1024단계로 전환할 때, 단계가 1024/4096 = 1/4로 줄어드면서 실제보다 데이터가 3/4 손실하게 된다. 이 손실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보완하고 보정할 지에 대한 방법론 중 하나가 Dithering이다. Dithering은 Temporal Dithering(시간적 .. 2023. 1. 8.
[Pycharm] 파이참(PyCharm) 단축키 주석 한꺼번에 주석 처리 : 블록 설정 후 Ctrl + / 한꺼번에 주석 풀기 : 블록 설정 후 Ctrl + / 복사/붙여넣기 (마우스 드래그 필요 없음) Ctrl + C : 한 줄 복사 Ctrl + X : 한 줄 잘라내기 Ctrl + D : 한 줄 복사 + 붙여넣기 기타 Ctrl + Enter : 커서는 유지한 채로 줄 바꿈 Ctrl + ↑,↓ : 커서는 유지한 채로 스크롤 이동 계속 업데이트 예정(2023.01.03) 2023. 1.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