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임베디드레시피5

1.4 회로이론 R(저항), L(인덕터), C(커패시터) 1.4 회로이론 R(저항), L(인덕터), C(커패시터) ※ 주의 : 임베디드시스템을 배우는 데 필요한, 회로 이론 기초 지식이라 내용이 부실할 수도 있습니다. 수동소자인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에 대해 간단하게 배워보자. 기본적으로 회로에서 사용하는 소자들은 일종의 저항이라는 것을 알아두면 좋다. 예를 들어,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어떠한 특징을 가진 저항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어떠한 특징을 엄밀하게 공부하기 위해선 회로이론 및 전자회로 전공 서적을 다시 뒤져봐야 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런 복잡한 공학적 수식을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저항(Resistance) 저항은 R이다. 엔지니어면 모를 수가 없는 V = IR 옴의 법칙에서 R을 담당한다. 옴의 법칙은 저항 R 양단에 V라는 전압이 걸리면 I 크.. 2022. 7. 20.
1.3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그리고 Ground 1.3.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그리고 Ground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의 일종이다. 앞서 배운 것처럼 디지털 신호는 대부분의 DC 성분과 약간의 AC 성분으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신호이다. DC는 주파수가 0이고, AC는 주파수 성분을 조금이라도 가진 것들은 나머지 것들이다. 디지털 신호는 High와 Low 두 개의 Logic Level만을 가질 수 있다. 그 Level은 엔지니어가 정할 수 있다. ex) 1V(High)/0V(Low), 2V(High)/-2V(Low), ... 일반적으로 말하면, 특정 임계값(Threshold) 이상이면 High, 이하이면 Low로 판단한다. ex) 1.5V Threshold일 때, 값이 1.5V 이상이면 High, 1.5V 이하이면 Low. 디지털 신호의.. 2022. 7. 19.
1.2 신호와 주파수 영역 - 스펙트럼 분석 1.2. 신호와 주파수 영역 - 스펙트럼 분석 주파수(Frequency)란? 단위 시간 동안 같은 것이 일어난 횟수를 의미한다.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로 볼수 있다. 이 책에선 우선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영역은 Time Domain(왼쪽)이고 공학적으로(?)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영역은 Frequency Domain(오른쪽)이다(학부시절에 신호및시스템과 RF수업을 들을 때 배웠던 것으로 기억한다). 또 주파수가 있으면 AC, 주파수가 없으면(즉 0이면) DC임을 알고있다. 지금까지는 문제가 없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이다. 하지만 다음부터 대한민국 공대생들을 좌절하게 만든 푸리에 변환이 나온다. 신호를 시간축 말고 주파수축에서 본다는 것은 가슴.. 2022. 7. 19.
1.1 Hardware 꼴라쥬 1.1 Hardware 꼴라쥬 회로도를 금방 해석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아래 절차에 따라서 공부해보자. 1. Hardware Level에서 신호를 시간 축과 주파수 축으로 나눠서 해석한다. 2. 필요한 신호와 불필요한 신호를 구분하여 걸러낸다. 3. Component들인 Register, Clock, Bus, Memory의 의미와 원리를 알아야 한다. 위의 내용을 확실히 알고 Software를 배운다. 2022. 7. 19.
0. 임베디드시스템 시작 RTL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임베디드/펌웨어 공부를 소홀히 했다. 다시 공부를 시작하기 위해 교재를 찾아보고 있었는데, 좋은 교재를 발견했다. http://recipes.egloos.com/ 임베디드 레시피 친절한 임베디드 개발자되기 강좌 recipes.egloos.com 다음 사이트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웹에서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지만, 휴대성 위해서 그리고 디버깅 파트가 빠져있어서, 큰 맘 먹고 사기로 결정했다. 하루에 최소 10페이지는 공부하여, 올해가 끝나기 전에 책 한권 공부를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카테고리에 공부한 것을 요약하여 올릴 예정이다. 2022. 7.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