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클라이언트2

[웹스크래핑] 웹크롤링 vs. 웹스크래핑 웹크롤링 vs. 웹스크래핑 웹크롤링 데이터를 수집하는 소프트웨어를 크롤러(crawler)라고 한다. 크롤러는 블로그, 뉴스 기사 등의 페이지를 모두 방문해서 문서가 어디에 있는지, 누가 작성했는지, 어떠한 내용이 들어 있는지를 수집한다. 수집한 데이터를 검색 포털이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어 놓기 때문에 사람들이 검색하면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빠르게 찾아줄 수 있다. 어떤 웹페이지에서 페이지의 링크를 따라가면서 모든 내용을 가져오는 것. 허용된 링크를 따라가면서 데이터를 마구잡이로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ex) 이벤트에 당첨되어 서점에서 카트에 30초 동안 담을 수 있는 모든 책을 담을 수 있는 기회가 생김. 다만 가장 윗줄에 있는 책들은 담으면 안된다. 이때 책의 내용과 관계없이 눈에 보이는 모든.. 2023. 1. 13.
[HTML] 폼 태그 폼 태그 폼 :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입력값)를 서버로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 : 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Host).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요청을 하면 서버는 그에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 서버 : 네이버 로그인(아이디와 비밀번호 전송) 클라이언트 ← 서버 :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맞으면 로그인시켜줌. 틀리면 틀렸다는 정보를 되돌려준다. 폼(Form) 폼은 입력 요소드를 감싸고 있으며, 입력 값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폼 태그에 묶여있는 입력 요소들은 하나의 양식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폼의 입력 값을 제출하기 위해 input 태그의 submit 타입을 사용한다. 속성 action : 입력값을 전송할 서버의 url method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 2023. 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