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arduino2

[아두이노 #1] 아두이노 IDE 개발환경셋팅 아두이노 IDE에서 개발하기 전에 우리는 두 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참고로 오늘은 아두이노 보드와 USB선이 필요합니다.) 1) 보드 2) 포트 1. 사용할 보드 결정 처음으로 사용할 보드를 결정해야 합니다. 저는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아두이노 우노보드를 사용할 것입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아두이노 보드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2. 통신할 포트 결정 우리가 PC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선 LAN포트에 LAN선을 꼽잖아요?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PC와 아두이노와 통신을 하기위해선 통신할 포트를 결정해야 합니다. PC와 아두이노는 이러한 USB선을 통하여 서로 통신을합니다. 그럼 아두이노가 PC에 어떤 포트로 연결되는지 확인해봅시다. [제어판] - [장치관리자]에 들어갑니다. 저는 검색창을 이용해.. 2022. 4. 7.
[아두이노 #0] 아두이노 IDE(통합개발환경) 설치 방법 최근들어 코딩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초등학교부터 코딩 교육을 한다고 들었습니다(아닐수도?). 어쨌든, 내가 직접 코딩한 것을 결과물로 볼 때 학습효과가 증대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도와줄 도우미가 바로 아두이노입니다. 아두이노에 관한 정보는 네이버나 구글에 수많이 있기 때문에, 저는 그러한 정보들을 축약해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아두이노로 개발을 하기 위해선 크게 3가지가 필요합니다. 1) 아두이노 IDE(통합개발환경) 2) SW 라이브러리 3) 아두이노 보드 오늘은 여기서 1번을 설치해볼겁니다. 여기서 IDE란?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이란 공통된 개발자 툴을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 2022. 4.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