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81 VRR(Variable refresh rate)이란? VRR(Variable refresh rate)이란?VRR(Variable Refresh Rate)은 사용자 입력 없이 주사율을 지속적으로 매끄럽게 변경할 수 있는 동적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VRR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특정 범위의 주사율(예: 30Hz ~ 144Hz)을 지원한다. 이를 VRR Range라고 한다.사용 목적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에서 프레임은 일정한 간격으로만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해당 간격에 도달했을 때 새로운 프레임이 준비되지 않는다면 이전 프레임이 다음 간격까지 유지되거나(Stutter), 이전 프레임과 새 프레임의 어느정도 완료된 부분이 혼합되어 화면에 표시된다(Tearing). 반대로 간격이 도달하기 전에 프레임이 준비되면 해당 간격이 도달할 때까지 프.. 2023. 1. 2. [Pycharm] 파이참(PyCharm) 프로젝트 생성 파이참과 같은 IDE를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가 프로젝트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는 폴더 or 디렉토리 단위이며 해당 폴더 안에 코드를 저장해서 사용한다. 1. New Project 생성 : Create a main.py welcome script를 체크한 경우 1. Location : 프로젝트 폴더 저장 위치, 작성한 코드가 저장될 위치 2. Location : 가상환경 저장 위치이며, 라이브러리와 모듈 등이 이곳에 저장됨 3. Base Interpreter : 기본 인터프리터, 설치한 파이썬을 의미함 4. Create a main.py welcome script : 프로젝트 생성 시 기본적으로 main.py를 생성한다. 아래의 Python Interpreter는 말 그대로 인터프리터(통역가.. 2023. 1. 2. [Pycharm] 파이참(PyCharm) 다운로드 PyCharm이란? PyCharm은 JetBrains(제트브레인)에서 만든 IDE(Integrated Developement Environment, 통합개발환경)이다. PyCharm Download 사이트 https://www.jetbrains.com/ko-kr/pycharm/download/#section=windows 다운로드 PyCharm: JetBrains가 만든 전문 개발자용 Python IDE www.jetbrains.com Professional Edition : 유료, 전문가용 Community Edtion : 무료 PyCharm Download 순서 1. 설치된 exe 파일을 실행한다. 2. Next 클릭 3. 저장 경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바꿔도 된다. 4. 모두 Check하는 것.. 2022. 12. 31. 파이썬에서 RGB 이미지를 Grayscale 이미지로 바꾸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알고리즘을 구현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from PIL import Imageimport numpy as np알고리즘 구현에 사용할 라이브러리는 PIL과 numpy이다. #OptionIMG_FILE = "Girl_with_a_Pearl_Earring.jpg" # Only Use JPG FileSHOW_IMAGE = True옵션으로 IMG_FILE과 SHOW_IMAGE를 파라미터로 사용한다.※ 이번 알고리즘에 사용할 이미지는 확장자가 jpg이다. png는 채널이 4개이기 때문에 이번 코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4번째 채널은 RGB값이 아니고 알파채널을 의미하는데, 이 값은 단순평균을 낼 때 사용할 수 없다. img = Image.open(IMG_FILE) # Imag.. 2022. 9. 2. [경주_3일차] 경주 불국사 셋째 날은 불국사와 석굴암 다녀왔습니다. 오늘 아점은 "어탕"에서 먹었습니다. 주소 : 경북 경주시 진현로1길 59-5 맛은 추어탕 맛인데 깔끔했습니다. 그 다음은 "경주 쿠키"에서 후식으로 쿠키~ 그냥 달달한 쿠키 맛인데, 색깔/모양 별로 맛도 달라요 그리고 경주 쿠키 주변에서 찰 보리빵도 샀습니다. 가격은 기억 안나는데 한 개의 500원 값이었던 것 같아요. 눅눅한 보리+팥 빵인데 보리향이 많이 납니다. 이제 불국사로 출발합니다. 불국사 처음 들어오면 마주치는 연못입니다. 이름은 기억이 안나요. 대웅전 :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고도 하며 항상 사찰의 중심에 있다. 불국사랑 석굴암은 사진을 못 찍는 곳이 많.. 2022. 9. 1. 2.3 ARM 동작 Mode 2.3 ARM 동작 Mode ARM을 다루기 위해서는 ARM의 동작 Mode를 잘 이해해야한다. System Design, Debugging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장은 계속해서 곱씹을 필요가 있다. ARM의 7가지 동작 Mode 크게 User Mode와 Privileged Mode로 나뉜다. User Mode는 말 그대로 표준 사용자 모드이고 Privileged Mode(특권 모드)는 그 외의 나머지 6개 모드를 일컫는다. User : Normal Program execution mode User Task나 Application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동작모드로 7개의 동작모드 중 유일하게 비특권 모드이다. User Mode는 메모리, I/O장치와 같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는 데 제한.. 2022. 8. 15. 2.3 ARM mode와 Thumb mode 2.3 ARM mode와 Thumb mode ARM mode와 Thumb mode ARM mode는 알겠는데, Thumb mode는 무엇일까? thumb은 알다시피 엄지손가락을 의미하며 최고를 뜻한다. 그럼 무언가 최고의 성능을 내기위한 mode가 아닐까 추측해본다. ARM mode는 32bit Instruction set이고, Thumb mode는 16bit Instruction set이다. 이말이 무엇인가 하면, ARM은 32bit RISC machine임을 우리는 알고있다. 그래서 ARM은 32bit로 동작할 때 최상의 Performance를 낸다.즉 Word가 32bit일 때 제일 효율이 좋다는 것이다. 참고로, 제품군에 T가 들어있으면 Thumb mode를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예) ARM7TD.. 2022. 8. 15. 2.2 ARM Inside 2.2 ARM Inside Atmel사의 Atmega(AVR)와 같이 다른 종류의 Processor도 있겠지만, 여기서는 ARM Processor를 기준으로 배운다. AVR은 요새 하락세이고, 대부분의 회사에서도 ARM으로 개발한다고하니 ARM을 기준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겠다. ARM의 특징 ARM의 기본적인 특징은 32bit RISC, Big/ Little Endian 지원, Fast Interrupt Response 지원 등이 있다. 이밖에도, 더 많은 특장점이 있겠지만, 그것은 또 나중에 다뤄봐야겠다. ARM 프로세서 구조 앞에서 배운 CPU의 간단한 구조는 위와 같았다. 실제 ARM7TDMI의 구조는 위와 같다. ARM의 기본적인 구조이고, 이것을 바탕으로 더 발전된 CPU를 개발하여 제공한다. .. 2022. 8. 15. 2.1 Microprocessor 2.1 Microprocessor 1단원에서 하드웨어에 관한 기본적인 이론을 배웠다. 이제 본격적으로 ARM Processor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한다. ARM의 특징과 Mode들 Exception과 Mode 내부 Register의 구조와 사용법 ARM SoC의 Concept Processor에 Interrupt가 걸리면 Hardware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가? Processor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위와같은 내용을 ARM 프로세서 기반으로 배우기 시작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이다. 2022. 8. 15. 1.18 일반적인 CPU의 동작 예(Core)와 Pipe Line 1.18 일반적인 CPU의 동작 예(Core)와 Pipe Line CPU는 앞서 설명한대로 크게 CU, ALU, 레지스터로 구성되지만, 그외에도 Program Counter(PC), Instruction Register, Address Register, Data Register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하고있다. 실제 CPU의 개략적인 구조 그림의 왼쪽 부분은 CPU(Processor)이고, 오른쪽 부분은 코드 관련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담고 있는 External Memory(외부메모리)이다. RAM 또는 NOR Flash같은 ROM이다. PC(Program Counter) : CPU가 실행할 Instruction의 주소를 가리킴. IR(Instruction Register) : PC가 가리키는 Instruct.. 2022. 8. 15. 1.17 확장 to the CPU - How CPU works 1.17 확장 to the CPU - How CPU works CPU란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는 논리회로의 집합체이다. 인간으로 치면 두뇌에 해당하지만, 학습능력이 없고 그냥 시킨대로 정해진 일만 한다. CPU의 동작 컨셉 CPU에 약속된 특정 신호를 넣으면 CPU는 그 일을 착실히 수행하고 결과값을 내놓는다. 위의 그림에서 8bit CPU의 0~7번 pin에 약속된 신호를 주면 CPU는 그것에 해당된 약속된 일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sum = a + b를 계산하기 위해서 레지스터 R1에 a, 레지스터 R2에 b가 들어있고 그 결과를 레지스터 R0에 저장하는 매커니즘으로 CPU가 동작한다고 가정하자. 이 가정한 일을 동작토록 하기위해서 0~7번 핀에 약속된 신호 11001011을 넣어주면 CP.. 2022. 8. 12. 1.16 RAM Memory의 물리적 동작 - 메모리의 구성과 동작 1.18 RAM Memory의 물리적 동작 메모리를 이해해야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다. 대부분의 디바이스는 메모리와 비슷하게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동작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메모리 구성 메모리는 위와 같이 생겼다. Address Pin(A0 ~ A7)과 Data Pin(D0 ~ D7), RD(Read), WR(Write) pin으로 구성된다. RD pin은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읽을 때, WR pin은 메모리에 데이터를 쓸 때 사용되는 핀이다. Address의 개수가 8개니까 2의 8승 가지의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8bit로 주소가 정해지므로 0x00 ~ 0xFF까지 2^8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다. 2^8개의 메모리를 가지므로 메모리 크기는 256Byte가 된다. Addres.. 2022. 8. 1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