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81

[Openpyxl] 2. Cell 기초 2. Cell 기초 셀에 값 입력하기 from openpyxl import Workbook wb = Workbook() # 새 워크북 생성 ws = wb.active # 현재 활성화된 Sheet를 가져옴 ws.title = "TestSheet" # 셀에 값 입력 ws["A1"] = 1 ws["A2"] = 2 ws["A3"] = 3 ws["B1"] = 4 ws["B2"] = 5 ws["B3"] = 6 셀의 정보 가져오기 셀의 이름으로 정보 가져오기 # 셀의 정보 가져오기 print(ws["A1"]) # A1 셀의 객체 정보 print(ws["A1"].value) # A1 셀의 값. print(ws["A10"].value) # A10 셀의 값. 값이 없으면 None을 출력. 1 None 해당 셀의 이름을 직.. 2024. 1. 22.
[Openpyxl] 1. Workbook, Worksheet 1. Workbook, Worksheet 라이브러리 설치 pip install openpyxl Workbook 생성 및 저장 from openpyxl import Workbook wb = Workbook() # 새 워크북 생성 ws = wb.active # 현재 활성화된 Sheet를 가져옴 ws.title = "Sheet Title" # Sheet의 제목 설정 wb.save("test.xlsx") # 워크북 저장 wb.close() # 워크북 닫기 active는 Excel 파일이 실행되었을 때 바로 나타나는 Sheet를 의미한다. wb.save: 해당 텍스트로 Excel 파일을 저장한다. Workbook 불러오기 from openpyxl import load_workbook # 파일 불러오기 라이브러리 .. 2024. 1. 22.
[GIT] Command 모음 Command 모음 ■ 자주 쓰는 GIT Command 모음 Command Option Argument Description git --version git 버전 확인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 이름" 사용자 이름 설정 --global user.email "본인 이메일" 사용자 이메일 설정 user.name 사용자 이름 확인 user.email 사용자 이메일 확인 --global init.defaultBranch "기본 브랜치명" 기본 브랜치명 설정 --global init.defaultBranch 기본 브랜치명 확인 --list 전체 설정 정보 확인 git init git 저장소 등록 git clone Remote 저장소로부터 git 저장소 복사 git status 파.. 2024. 1. 10.
[GIT] Remote Repository Remote Repository ■ Remote Repository ① Remote Repository는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어딘가에 있는 저장소를 말한다. ② Remote Repository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협업할 수 있다. ③ Remote Repository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④ git remote: Remote Repository 목록 확인 ⑤ 옵션 • -v: Remote Repository의 이름과 목록 확인 • add : 로컬 저장소에 Remote 저장소를 추가한다. • remove : 로컬 저장소를 Remote 저장소와 연결을 끊는다. *git clone = git remote add + git pull ⑥ 로컬 저장소와 Remote 저장소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push.. 2024. 1. 8.
[GIT] Branch 2 Branch 2 ■ Branch 합치기(Merge) ①git merge : 두 Branch를 하나의 새로운 Commit에 이어붙인다. ②현재 Checkout된 Branch에 해당 Branch를 Merge한다. ③HEAD가 가리키는 Commit에 해당 Branch가 가리키는 Commit을 합쳐 새로운 Commit을 만든다. ④Fast Forward Merge가 가능하다. ⑤Branch의 사용 내역들을 남길 필요가 있을 때 적합한 방식이다. ■ Branch 합치기(Rebase) ① git rebase : 다시 Base를 정한다는 의미로, Branch를 다른 Branch에 이어붙인다. ② Master(줄기)에서 Commit의 히스토리를 한 줄로 깔끔하게 확인할 수 있다. ③ Master는 최대한 건들면 안되기.. 2024. 1. 7.
[GIT] Branch 1 Branch 1 ■ Branch 만들기 ① Branch는 ‘가지’라는 뜻으로 독립적으로 개발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 프로젝트를 하나 이상의 모습으로 관리할 때. ex) 테스트용, 새로운 시도, … • 여러 작업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될 때. ex) 기능 A, 기능 B, 신기능 C, 코드개선, 긴급수정, … ② git branch : Branch를 생성한다. ③ git checkout : Branch를 이동한다. *GIT 2.23 버전부터 checkout 명령어가 switch, restore로 분리됨. ④옵션 A. git branch • -d : Branch를 삭제한다. • -D : Merge되지 않은 Commit이 있는 경우 강제로 삭제한다. • -m : Branch 이름을 변경한다. • -v: 마.. 2024. 1. 7.
[GIT] Commit 되돌리기 Commit 되돌리기 ■ 최근 Commit 수정하기(덮어쓰기) ①git commit --amend: 최근 Commit을 수정한다. ②완료한 Commit을 수정할 때 사용한다. ③어떤 파일을 빼먹고 Commit했거나, Commit 메시지를 잘못 적었을 때 사용한다. ④다시 Commit하고 싶으면 파일 수정 작업을 하고 Staging Area에 추가한 다음 –amend 옵션을 사용하여 Commit을 수정한다. ■ Commit 되돌리기(Reset) ①git reset : 과거 Commit으로 되돌아가면서, 이후의 Commit은 모두 삭제한다. ②협업 시에 다른 사람과 공유된 Commit을 Reset하면, 다른 팀원과의 코드 이력과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혼자만 Branch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2024. 1. 5.
[GIT] GIT 저장소에 파일 저장하기 [GIT] GIT 저장소에 파일 저장하기 ■ 기본 명령어 •git status: 파일 상태 확인. •git add : 새로운 또는 수정된 파일을 Staging. •git diff: 파일의 변경사항을 비교하여 보여줌 •git commit –m “메시지 내용”: Staging 영역의 파일을 Commit하면서 메시지를 남긴다. •git log: Commit의 히스토리를 조회 ■ GIT 저장소에 새로운 파일 저장하기 ① Working 디렉토리에 새로운 파일을 만든다(Untracked). ② git add 입력한다(Staged) ③ git commit –m “메시지 내용” 입력한다(Unmodified). - commit을 완료하면 파일은 Unmodified 상태로 되돌아간다. ■ GIT 저장소에 수정된 파일 저장.. 2024. 1. 2.
[GIT] GIT에서 특정 파일/폴더 배제하기 GIT에서 특정 파일/폴더 배제하기 ■ GIT에 포함할 필요가 없는 경우 Build 결과물, 라이브러리 민감한 정보의 파일 ■ gitignore 파일 .gitignore 파일에 안에 무시할 파일/폴더의 패턴을 적는다. ■ gitignore 규칙 아무것도 없는 라인이나, # 로 시작하는 라인은 무시한다. 표준 Glob 패턴을 사용한다. 이는 프로젝트 전체에 적용된다. 슬래시(/)로 시작하면 하위 디렉토리에 적용되지(Recursivity) 않는다. 디렉토리는 슬래시(/)를 끝에 사용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느낌표(!)로 시작하는 패턴의 파일은 무시하지 않는다. 2023. 12. 21.
[GIT] GIT Setup GIT Setup ■ 사용자 정보 설정 1) 이름과 이메일 설정 및 변경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 이메일)” * 프로젝트마다 이름과 이메일을 다르게 하고 싶다면 --global을 붙이지 않는다. 2) 이름과 이메일 확인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3)모든 설정 확인 git config --list 4)기본 브랜치명 설정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or master) * 기본 브랜치명을 master에서 main으로 바꾸는 추세. ■ GIT 저장소 만들기 1) GIT.. 2023. 12. 20.
[GIT] GIT 기초 GIT 기초 ■ GIT의 3가지 영역 1) Working Directory ①GIT이 추적 중인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 ②GIT이 관리하도록 지정된 디렉토리 ③실제 작업하는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 2) Staging Area ①‘git add’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곳 ②commit할 준비가 된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 ③.git 디렉토리에서 단순한 파일로 존재 ④기술용어로 index라고도 불림 3) GIT Directory(Repository) ①commit되어 버전을 관리하는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 ②.git 디렉토리를 의미 ③GIT이 프로젝트의 메타데이터와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곳 ④프로젝트의 버전 관리를 위한 모든 정보가 저장됨 ■ GIT의 3가지 상태 1) Modified ①수정한 파일을 로컬 데이.. 2023. 12. 14.
[GIT] GIT 설치 GIT 설치 ■ GIT 설치 https://git-scm.com/ Default 옵션 사용(계속 Next 클릭). Open Git Bash Here는 반드시 체크 •Git Bash에서 git --version 입력하여 Git 버전 확인 ■ SourceTree 설치: Git을 GUI로 다룰 수 있는 Tool https://www.sourcetreeapp.com/ 다른 GUI 툴: https://git-scm.com/downloads/guis 2023. 12.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