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9

2.1 Microprocessor 2.1 Microprocessor 1단원에서 하드웨어에 관한 기본적인 이론을 배웠다. 이제 본격적으로 ARM Processor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한다. ARM의 특징과 Mode들 Exception과 Mode 내부 Register의 구조와 사용법 ARM SoC의 Concept Processor에 Interrupt가 걸리면 Hardware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가? Processor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위와같은 내용을 ARM 프로세서 기반으로 배우기 시작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이다. 2022. 8. 15.
1.18 일반적인 CPU의 동작 예(Core)와 Pipe Line 1.18 일반적인 CPU의 동작 예(Core)와 Pipe Line CPU는 앞서 설명한대로 크게 CU, ALU, 레지스터로 구성되지만, 그외에도 Program Counter(PC), Instruction Register, Address Register, Data Register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하고있다. 실제 CPU의 개략적인 구조 그림의 왼쪽 부분은 CPU(Processor)이고, 오른쪽 부분은 코드 관련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담고 있는 External Memory(외부메모리)이다. RAM 또는 NOR Flash같은 ROM이다. PC(Program Counter) : CPU가 실행할 Instruction의 주소를 가리킴. IR(Instruction Register) : PC가 가리키는 Instruct.. 2022. 8. 15.
1.17 확장 to the CPU - How CPU works 1.17 확장 to the CPU - How CPU works CPU란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는 논리회로의 집합체이다. 인간으로 치면 두뇌에 해당하지만, 학습능력이 없고 그냥 시킨대로 정해진 일만 한다. CPU의 동작 컨셉 CPU에 약속된 특정 신호를 넣으면 CPU는 그 일을 착실히 수행하고 결과값을 내놓는다. 위의 그림에서 8bit CPU의 0~7번 pin에 약속된 신호를 주면 CPU는 그것에 해당된 약속된 일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sum = a + b를 계산하기 위해서 레지스터 R1에 a, 레지스터 R2에 b가 들어있고 그 결과를 레지스터 R0에 저장하는 매커니즘으로 CPU가 동작한다고 가정하자. 이 가정한 일을 동작토록 하기위해서 0~7번 핀에 약속된 신호 11001011을 넣어주면 CP.. 2022. 8. 12.
1.16 RAM Memory의 물리적 동작 - 메모리의 구성과 동작 1.18 RAM Memory의 물리적 동작 메모리를 이해해야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다. 대부분의 디바이스는 메모리와 비슷하게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동작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메모리 구성 메모리는 위와 같이 생겼다. Address Pin(A0 ~ A7)과 Data Pin(D0 ~ D7), RD(Read), WR(Write) pin으로 구성된다. RD pin은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읽을 때, WR pin은 메모리에 데이터를 쓸 때 사용되는 핀이다. Address의 개수가 8개니까 2의 8승 가지의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8bit로 주소가 정해지므로 0x00 ~ 0xFF까지 2^8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다. 2^8개의 메모리를 가지므로 메모리 크기는 256Byte가 된다. Addres.. 2022. 8. 12.
1.15 Memory의 선정과 XIP 1.15 Memory의 선정과 XIP 메모리는 임베디드시스템에서 시스템을 구성과 퍼포먼스에 가잔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메모리 선정을 잘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Memory 종류 1. RAM - 휘발성 : 전원이 나가면 데이터가 사라짐 ※ XIP(Execute In Place) 메모리 상에서 직접 program/ code를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하며, 이 기술을 위해서는 Random Access가 가능해야 한다. 모든 RAM은 Random Access가 가능한데, 이름부터 Random Access Memory(RAM)이다. 여기서 Random Access란 Byte/ Word/ 등의 크기를 직접 Access하는 것을 의미한다. SRAM(Static RAM) Static RAM으로 가장 비싼 .. 2022. 8. 10.
1.14 Timing 그리고 Spec 읽기 1.14 Timing 그리고 Spec 읽기 전달 지연 시간과 스위칭 특성 Timing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선 스위칭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게이트에 입력이 들어온 후 출력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데 이 시간을 전달 지연 시간(Propagation Delay Time)이라고 한다. 그리고 전달 지연 시간에 관한 전기적 특성을 스위칭 특성이라고 한다. "1.12 Clock이란?" 에서 기술했듯이, 디지털 신호는 실제로 직사각형이 아니라 사다리꼴 모양이다. 이 이유는 신호가 스위칭될 때 약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High(1)를 기준으로 10%에서 90%까지 올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LH(Time Low to High) 또는 Rising Time이라고 하고, 90%에서 10%까지 내려가는 시간을.. 2022. 8.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