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Embedded System24

1.3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그리고 Ground 1.3.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그리고 Ground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의 일종이다. 앞서 배운 것처럼 디지털 신호는 대부분의 DC 성분과 약간의 AC 성분으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신호이다. DC는 주파수가 0이고, AC는 주파수 성분을 조금이라도 가진 것들은 나머지 것들이다. 디지털 신호는 High와 Low 두 개의 Logic Level만을 가질 수 있다. 그 Level은 엔지니어가 정할 수 있다. ex) 1V(High)/0V(Low), 2V(High)/-2V(Low), ... 일반적으로 말하면, 특정 임계값(Threshold) 이상이면 High, 이하이면 Low로 판단한다. ex) 1.5V Threshold일 때, 값이 1.5V 이상이면 High, 1.5V 이하이면 Low. 디지털 신호의.. 2022. 7. 19.
1.2 신호와 주파수 영역 - 스펙트럼 분석 1.2. 신호와 주파수 영역 - 스펙트럼 분석 주파수(Frequency)란? 단위 시간 동안 같은 것이 일어난 횟수를 의미한다.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로 볼수 있다. 이 책에선 우선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영역은 Time Domain(왼쪽)이고 공학적으로(?)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영역은 Frequency Domain(오른쪽)이다(학부시절에 신호및시스템과 RF수업을 들을 때 배웠던 것으로 기억한다). 또 주파수가 있으면 AC, 주파수가 없으면(즉 0이면) DC임을 알고있다. 지금까지는 문제가 없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이다. 하지만 다음부터 대한민국 공대생들을 좌절하게 만든 푸리에 변환이 나온다. 신호를 시간축 말고 주파수축에서 본다는 것은 가슴.. 2022. 7. 19.
1.1 Hardware 꼴라쥬 1.1 Hardware 꼴라쥬 회로도를 금방 해석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아래 절차에 따라서 공부해보자. 1. Hardware Level에서 신호를 시간 축과 주파수 축으로 나눠서 해석한다. 2. 필요한 신호와 불필요한 신호를 구분하여 걸러낸다. 3. Component들인 Register, Clock, Bus, Memory의 의미와 원리를 알아야 한다. 위의 내용을 확실히 알고 Software를 배운다. 2022. 7. 19.
0. 임베디드시스템 시작 RTL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임베디드/펌웨어 공부를 소홀히 했다. 다시 공부를 시작하기 위해 교재를 찾아보고 있었는데, 좋은 교재를 발견했다. http://recipes.egloos.com/ 임베디드 레시피 친절한 임베디드 개발자되기 강좌 recipes.egloos.com 다음 사이트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웹에서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지만, 휴대성 위해서 그리고 디버깅 파트가 빠져있어서, 큰 맘 먹고 사기로 결정했다. 하루에 최소 10페이지는 공부하여, 올해가 끝나기 전에 책 한권 공부를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카테고리에 공부한 것을 요약하여 올릴 예정이다. 2022. 7. 14.
[아두이노 #1] 아두이노 IDE 개발환경셋팅 아두이노 IDE에서 개발하기 전에 우리는 두 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참고로 오늘은 아두이노 보드와 USB선이 필요합니다.) 1) 보드 2) 포트 1. 사용할 보드 결정 처음으로 사용할 보드를 결정해야 합니다. 저는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아두이노 우노보드를 사용할 것입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아두이노 보드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2. 통신할 포트 결정 우리가 PC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선 LAN포트에 LAN선을 꼽잖아요?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PC와 아두이노와 통신을 하기위해선 통신할 포트를 결정해야 합니다. PC와 아두이노는 이러한 USB선을 통하여 서로 통신을합니다. 그럼 아두이노가 PC에 어떤 포트로 연결되는지 확인해봅시다. [제어판] - [장치관리자]에 들어갑니다. 저는 검색창을 이용해.. 2022. 4. 7.
[아두이노 #0] 아두이노 IDE(통합개발환경) 설치 방법 최근들어 코딩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초등학교부터 코딩 교육을 한다고 들었습니다(아닐수도?). 어쨌든, 내가 직접 코딩한 것을 결과물로 볼 때 학습효과가 증대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도와줄 도우미가 바로 아두이노입니다. 아두이노에 관한 정보는 네이버나 구글에 수많이 있기 때문에, 저는 그러한 정보들을 축약해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아두이노로 개발을 하기 위해선 크게 3가지가 필요합니다. 1) 아두이노 IDE(통합개발환경) 2) SW 라이브러리 3) 아두이노 보드 오늘은 여기서 1번을 설치해볼겁니다. 여기서 IDE란?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이란 공통된 개발자 툴을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 2022. 4.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