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9 [C++ 기초] 10. 공용체(Union)와 열거체(Enum) 공용체(Union) 정의 서로 다른 데이터형을 한 시점에 한 가지 데이터만 보관하는 데이터형. 구조체(Struct)와 생김새가 비슷함. 선언 union UnionName { 타입 멤버변수1 타입 멤버변수2 ... } 특징 공용체의 모든 멤버들이 같은 메모리 공간을 사용. 동시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고, 이전 데이터는 소실된다. 주로 메모리 절약을 위해 사용됨. OS, HW 데이터 구조에 사용.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union MyUnion { int intVal; long longVal; float floatVal; }; MyUnion test; test.intVal = 3; cout 2023. 3. 12. [C++ 기초] 9. 구조체(Struct)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 축구선수 struct MyStruct // 구조체 선언 { // 멤버 변수 string name; string position; int height; int weight; } B; // 구조체를 선언하면서 변수 선언 가능 // 1. 초기화 MyStruct A = { // 변수 선언 "Son", "Striker", 183, 77 }; cout 2023. 3. 12. [C++ 기초] 8. String형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har char1[20]; char char2[20] = "jaguar"; //char1 = char2; //불가능 string str1; string str2 = "panda"; string str3 = "potato"; str1 = str2; // 가능 cout 2023. 3. 10. [C++ 기초] 7. 사용자 입력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사용자 입력 const int Size = 15; char name1[Size]; // 비어있는 배열 char name2[Size] = "C++programing"; // 문자열 상수로 초기화된 배열 cout 2023. 3. 10. [C++ 기초] 6. 배열과 문자열 #include // 전처리 지시자 using namespace std; // 없으면 std::을 붙여서 함수를 사용해야함 int main() { // main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함수가 있어야 한다. short month[12] = { 1,2,3 }; cout 2023. 3. 10. [C++ 기초] 5. 산술연산자와 auto형 #include // 전처리 지시자 using namespace std; // 없으면 std::을 붙여서 함수를 사용해야함 int main() { // main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함수가 있어야 한다. int a = 10; int b = 3; int c = a + b; int d = a - b; int e = a * b; int f = a / b; int g = a % b; cout 2023. 3. 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