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mage Processing/Algorithm3

Error Diffusion이란? Dithering Dithering이란 Bit Depth가 높은 영상데이터를 Bit Depth가 낮은 영상데이터로 바꿀 때 적용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12 Bit 영상데이터는 RGB 각각 0 ~ 4095까지 총 4096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지고, 10 Bit 영상데이터는 0 ~ 1023까지 총 1024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진다. 4096단계를 1024단계로 전환할 때, 단계가 1024/4096 = 1/4로 줄어드면서 실제보다 데이터가 3/4 손실하게 된다. 이 손실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보완하고 보정할 지에 대한 방법론 중 하나가 Dithering이다. Dithering은 Temporal Dithering(시간적 디더링)과 Spatial Dithering(공간적 디더링)으로 나.. 2023. 1. 8.
FRC(Frame Rate Control)란? FRC(Frame Rate Control) FRC란 일종의 Dithering이다. Dithering이란 Bit Depth가 높은 영상데이터를 Bit Depth가 낮은 영상데이터로 바꿀 때 적용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12 Bit 영상데이터는 RGB 각각 0 ~ 4095까지 총 4096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지고, 10 Bit 영상데이터는 0 ~ 1023까지 총 1024단계의 밝기 Value를 가진다. 4096단계를 1024단계로 전환할 때, 단계가 1024/4096 = 1/4로 줄어드면서 실제보다 데이터가 3/4 손실하게 된다. 이 손실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보완하고 보정할 지에 대한 방법론 중 하나가 Dithering이다. Dithering은 Temporal Dithering(시간적 .. 2023. 1. 8.
VRR(Variable refresh rate)이란? VRR(Variable refresh rate)이란? VRR(Variable Refresh Rate)은 사용자 입력 없이 주사율을 지속적으로 매끄럽게 변경할 수 있는 동적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VRR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특정 범위의 주사율(예: 30Hz ~ 144Hz)을 지원한다. 이를 VRR Range라고 한다. 사용 목적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에서 프레임은 일정한 간격으로만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해당 간격에 도달했을 때 새로운 프레임이 준비되지 않는다면 이전 프레임이 다음 간격까지 유지되거나(Stutter), 이전 프레임과 새 프레임의 어느정도 완료된 부분이 혼합되어 화면에 표시된다(Tearing). 반대로 간격이 도달하기 전에 프레임이 준비되면 해당 간격이 도달할 때까.. 2023. 1. 2.
728x90
반응형